바로가기 메뉴
컨텐츠바로가기
주메뉴바로가기
하단메뉴바로가기
외부링크용로고

2,670개의 글이 등록되었습니다.

'목조석가삼존불감'등 환수 문화재 경매···마이아트옥션 25일

[뉴시스] 박현주 | 2017.07.18

'목조석가삼존불감' '동자상'등 국내로 환수된 문화재급 불교미술품이 경매에 나왔다. ㈜마이아트옥션은 오는 25일 여는 ‘제25회 마이아트옥션 메인 경매’ 에 고서화 및 근 현대서화, 불교미술, 도자, 목기 및 공예품 등 총 72점을 경매한다. 마이아트옥션은 '목조석가삼존불감', '동자상', '광암 한용화 초상', 추사 김정희 '시고 대련' 등 일본과 미국에 흩여져 있는 작품들을 지속적으로 조사하고 연구하여, 최근 국내로 문화재를 환수해 왔다"며 "해외반출 문화재의 환수라는 큰 의미로 이번 경매를 통해 조선시대 불교미술품들을 처음 선보인다"고 18일 밝혔다. '목조석가삼존불감(木造釋迦三尊佛龕)'이 1억5000만~3억5000만원에 추정가가 매겨졌다. 닫으면 원통의 포탄형이며, 펼치면 세 부분으로 분리된 3불감형식을 나타내고 있다. 마이아트옥션은 "조선시대 불감은 현존하는 예가 많지 않아 자료적으로 소장 가치가 크며, 특히 이 불감은 일제감정기에 해외로 유출된 것으로, 일본의 고미술 개인 컬렉터가 오랫동안 소장하고 있던 작품으로, 최근 국내로 환수된 작품"이라고 소개했다. 마이아트옥션은 "복장물이 발견되지 않아 조성시기나 배경을 정확하게 알 수 없지만 조각의 정교함, 보존 상태, 불상 양식 특징 등을 통해 17~18세기 제작된 불감"으로 추정했다.

제주 첫 비엔날레 9월1일 개막…주제는 '투어리즘'

[뉴스1] 오미란 | 2017.07.12

12월3일까지 도내 곳곳서…'전시·투어·배움' 구성 文대통령 아들 문준용씨 등 국내외 작가 70팀 참여 제주지역 첫 비엔날레인 '제주비엔날레 2017'이 오는 9월1일 개막한다. 제주도가 주최하고 제주도립미술관이 주관하는 이번 비엔날레는 9월1일 개막식을 시작으로 12월3일까지 세 달 동안 도내 곳곳에서 펼쳐진다. 주제는 '투어리즘(Tourism)'이다. 관광산업으로 급변하는 도시의 모습이 전 지구적 이슈임을 작품을 통해 살펴보고, 이를 현대미술과 연계함으로써 투어리스티피케이션(Touristification·관광+젠트리피케이션)을 고민한다는 취지다. 이번 비엔날레는 크게 '전시·투어·배움' 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 전시 프로그램은 제주도립미술관과 제주현대미술관, 알뜨르비행장, 서귀포시 원도심 이중섭 거리, 제주시 원도심 예술공간 '이아(IAa)' 5곳에서 각각 진행된다. 제주도립미술관에서는 관광과 여행에 대한 근본적인 의문과 명암을 다룬 예술작품이, 제주현대미술관에는 원전사고·제노사이드·개발과 유입 등에 의해 잃어버린 기억과 공동체를 다룬 작품이 전시된다. 과거 전진기지였던 알뜨르비행장에서는 '알뜨르 행성 탐사'를 테마로 역사 속의 알뜨르비행장을 환기해 보는 작품들이 전시될 예정이다. 서귀포시 원도심에서는 예술가 이중섭의 삶을 재조명하는 작품들이, 제주시 원도심에서는 역사도시의 재생과 투어리즘을 다루는 작품들이 전시된다. 이번 비엔날레에는 국내 36팀, 해외 24팀, 프로젝트 10팀 등 총 70팀의 작가들이 참여한다. 참여 작가 중에는 문재인 대통령의 아들인 미디어 아티스트 문준용씨도 포함됐다. 문씨는 이번 비엔날레 기간 알뜨르비행장에서 관객의 움직임에 따라 이미지를 생성하는 인터랙티브 작품인 '비행(Flying)'을 선보일 예정이다. 투어 프로그램은 50개 의제를 바탕으로 한 토크쇼 '탐라순담', 제주의 자연·역사·문화 현장을 예술과 연계하는 '아트올레', ㈜넥스트페이지와 연계한 웹 기반 '스마트투어'로 진행된다. '배움'을 주제로 한 교육 프로그램으로는 청소년이 기획하는 비엔날레 프로젝트인 '하ㅇ!스쿨', 융합관광학 강연 프로그램, 투어리즘을 주제로 한 학술 컨퍼런스 등이 마련될 예정이다. mro1225@

경남국제아트페어, 6~9일 창원컨벤션센터서 개최

[뉴스1] 남경문 | 2017.07.06

경남의 대표 미술 전문전시회로 자리 잡은 ‘제8회 경남국제아트페어(GIAF 2017)'가 6일부터 9일까지 4일간 창원컨벤션센터에서 열린다. 올해로 8회를 맞는 이번 전시회는 경남도와 창원시가 주최하고 창원컨벤션센터사업단, 한국미술협회 경남도지회가 주관하는 행사로 국내 유수 갤러리는 물론 미국, 프랑스 등 총 11개국 82개 갤러리 약 2000여 점의 작품이 전시된다. 참가 갤러리들은 셀프 인테리어를 위한 미술 작품 구매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트렌드에 맞춰 10만원에서 5000만원대까지 다양한 금액대의 작품을 전시한다. 관람객들은 다양한 작품을 합리적인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다. 특히 클레이아크김해미술관 세라믹창작센터의 입주 작가 작품전인 ‘스파클링’, 일본과 경남의 관광지와 문화를 예술작품으로 만나볼 수 있는 한일교류 프로젝트 ‘공감, 예술과 여행이 필요한 시간’, 사진 특별전인 ‘사진의 진화-파리에서 피어나 아메리카에서 꽃핀’, SBS 드라마 ‘사임당, 빛의 일기’에 나오는 작품을 작업한 ‘오순경 민화작가 특별전’ 등 다양한 작품들을 만나볼 수 있다. 김신호 경남도 국제통상과장은 “경남국제아트페어를 통해 유능한 작가가 발굴되고 미술작품의 시장성이 확대되기를 바란다”며, “도민들이 미술문화를 마음껏 즐길 수 있는 지역미술품 축제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email protected]

케이옥션 "온라인 미술경매 지난해보다 2.3배 급성장"

[뉴스1] 김아미 | 2017.07.06

상반기 52억4597만원…이대원 '농원' 3억여원 낙찰 케이옥션(대표 이상규)이 올해 1~6월 상반기 온라인 경매 낙찰총액이 52억4597만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22억9230만원에 비해 2.3배 증가했다고 6일 밝혔다. 경매 횟수도 지난해 상반기 18회에서 올해 상반기 28회로 10회 늘었다. 케이옥션은 "매주 수요일 경매를 시작해 차주 화요일에 마감하는 위클리 온라인경매를 통해 신규 고객이 적극적으로 유입됐고, 1000만원 이하 다양한 가격 구성의 작품을 선보여 고객들의 다양한 기호를 충족시키는데 기여한 영향"이라고 분석했다. 특히 "1년에 6회 정도 진행되는 프리미엄 온라인 경매에서 큰 그림, 기업 컬렉션 등의 기획 경매가 컬렉터들의 관심을 모았다"며 "온라인 환경의 급격한 성장과 스마트폰의 보급과 활용 인구의 증가로 인해 앞으로 온라인을 통해 미술품 경매는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편 케이옥션이 최근 마감한 7월 프리미엄 온라인경매는 낙찰총액 15억원, 낙찰률 71%을 기록했다. 경매 최고가 낙찰 작품은 이대원의 2003년작 '농원'으로 2억8000만원에 경매를 시작해 13번의 경합 끝에 3억200만원에 낙찰됐다. 경매 최다 경합 작품은 강환섭의 '무한'으로 300만원에 경매를 시작, 무려 67번의 경합을 거쳐 1620만원에 낙찰됐다. amigo@

상반기 경매시장 989억원 낙찰···김환기 146억4400만원 매출 1위

[뉴시스] 박현주 | 2017.07.04

■한국미술시가 감정협회·아트프라이스 2017상반기 국내 미술품 경매시장 분석 상반기 국내 미술품 경매시장의 총 거래액은 약 989억원으로 집계됐다. 총 1만4027점이 경매에 올라 낙찰 9515점, 낙찰률 67.83%를 기록했다. 사단법인 한국미술시가감정협회(이사장 차대영)와 아트프라이스가 국내에서 운영되는 12개 경매사(서울옥션ㆍK옥션ㆍ칸옥션ㆍ아트데이옥션ㆍ에이치옥션ㆍ아이옥션ㆍ에이옥션ㆍ마이아트옥션ㆍ꼬모옥션ㆍ인사고옥션ㆍ토탈아트옥션ㆍ명인옥션)에서 1월부터 6월 말까지 진행한 경매의 분석결과다. 낙찰 총액 1위는 146억4400만원어치가 팔린 김환기의 작품으로 77.61% 낙찰률을 기록했다. 2017년 상반기 국내 경매시장 88.3%를 장악하고 있는 2강체제가 굳건히 유지되고 있다. 서울옥션이 약 479억원으로 48.4%, K옥션이 약 395억원으로 39.9%로, 양대 경매사가 국내 경매시장을 쥐락펴락하고 있다. 하지만, 지난해 연말결산에서 두 경매사가 차지한 92%에 비하면 다소 비중이 낮아졌다. 한국미술시가감정협회 김영석 감정위원장은 “양대 경매사 위주로 강세를 보였던 단색화 작가의 열기가 다소 식었고, 군소 경매사들이 중저가 작품과 전통미술품 등 틈새시장을 공략한 효과로 보인다”고 밝혔다.

"갤러리들이 긴장한다고? 놀려고 만든 축제일뿐"

[뉴스1] 김아미 | 2017.06.26

[인터뷰] 작가 직거래 미술장터 '유니온아트페어' 만든 최두수 작가 "작품 가격을 보면 10만원, 20만원 정도예요. 눈물이 나서 엑셀 파일을 넘길 수가 없어요. 그런 작가들 백여 명이 나와서 이런 장터를 연다는 건, 그만큼 작가들이 무언가 굉장히 절실하다는 겁니다." '유니온아트페어' 개막을 앞둔 지난 23일, 서울 종로구 인사동에서 만난 최두수 작가는 작가들이 직접 만드는 아트페어의 존재 이유에 대해 이같이 말했다. 유니온아트페어는 최두수, 이완 등 '호형호제'하는 두 작가가 주축이 돼 지난해부터 시작한 작가 직거래 미술장터다. 올해 2회째를 맞은 유니온아트페어는 지난해 한남동 블루스퀘어 네모 때보다 전시장 규모가 3배나 커졌고, 참여작가 수도 77명에서 166명으로 배 이상이 늘었다. 참여 작가 면면도 화려하다. 주재환, 김정헌 등 원로 작가들부터 허영만, 구본창 등 중견작가, 박여주, 박형근, 배윤환, 신제현, 인세인박, 최선, 차지량, 지지수, 하태범, 홍범, 진 마이어슨 등 주요 갤러리·미술관 전시를 통해 이름을 알리고 있는 젊은 작가들도 대거 참여했다. 무엇보다도 이 장터에 '위계'는 없다. 제 아무리 유명한 작가라도 구석 자리에 작품이 걸릴 수 있고, 이름 없는 젊은 작가의 작품이라도 맨 가운데 전시된다. 모든 작가에게 2평 남짓 비슷한 공간에 주어지고, 공간에 맞게 작품 전시가 이뤄진다.

하정우·구혜선 작품 제주 상륙…‘아트제주 2017’ 열린다

[뉴스1] 안서연 | 2017.06.23

7월 13~16일 하얏트리젠시제주서 개최…2000여점 전시·판매 배우 하정우와 구혜선을 비롯한 국내·외 유명 미술작가들의 작품을 구입할 수 있는 대규모 미술품 판매 행사가 제주에서 열린다. 아트제주㈜는 7월 13일부터 16일까지 서귀포시 중문관광단지에 있는 하얏트 리젠시 제주에서 국제 아트페어 행사 ‘아트제주 2017’을 개최한다고 22일 밝혔다. 행사 기간에 호텔 6~7층 객실에는 50여개 갤러리가 마련되고 3층 연회장에는 25여개 공예전 부스가 차려진다. 이곳에서는 총 2000여 점에 이르는 작품이 전시·판매된다. 국내에서는 박영덕 갤러리, 이정 갤러리, 엄 갤러리, 스페이스나인 등이 참여하며 해외에서는 아트윅스 파리, 초이랜라거, 보데 갤러리 등이 참가해 다양한 컬렉션을 선보일 예정이다. 또 2013년 뉴욕전시회에서 전시 작품을 완판한 바 있는 배우 하정우와 국제 아트페어 홍콩 컨템퍼러리에 초청 작가로 참여하기도 한 배우 구혜선의 특별전이 열린다. 제주 작가들이 경쟁할 수 있는 공간도 마련된다. 제주에서 28년간 살아온 이왈종 화백의 삶이 반영된 작품세계를 만날 수 있으며 제주출신 조형예술가 백은주 작가의 국 내 첫 전시도 볼 수 있다. 15일 오후 2시에는 예술계 인사들을 초청해 ‘아트 컨퍼런스’도 개최한다. ‘제주 미술시장의 가능성과 나아갈 방향’이라는 주제로 진행되며 이학준 크리스티코리아 대표 등이 참석할 예정이다. 같은날 오후 4시에는 방송인이자 생활 한복 ‘반함’ 디자이너로 활동하고 있는 허수경씨가 발표자로 나서 공예작가들과 인터뷰를 진행하는 ‘아트토크’ 행사도 마련됐다. 또 제주의 재능 있는 어린 예술가들을 발견하기 위한 창작 행사 ‘아트제주 키즈스타’도 열린다. 1부 사생대회와 2부 공공예술 창작대회로 진행되는 이 행사에서 선발된 작품은 도록으로 간행될 예정이다. 자세한 내용은 아트제주 웹사이트(www.artjejukorea.com)를 참고하거나 아트제주 사무국(064-739-3373)에 문의하면 된다. 홍명표 아트제주2017 조직위원장은 “작년에 이어 두 번째로 개최되는 아트제주가 제주미술시장의 새로운 활력소가 됨과 동시에 큰 기여를 할 것을 확신한다”고 기대했다. 한편 미술시장을 뜻하는 ‘아트페어(Art Fair)’는 보통 몇 개 이상의 화랑들이 한 장소에 모여 작품을 판매하는 행사를 말한다. asy0104@

최상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