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컨텐츠바로가기
주메뉴바로가기
하단메뉴바로가기
외부링크용로고

733개의 글이 등록되었습니다.

현대미술은 결국 세상 치유하고 구원한다 [기고]

[뉴시스] 이규현 기고 | 2024.05.16

적막 속에서 사이렌과 폭탄 소리가 작아졌다 커졌다 반복하고, 스크린 안에서는 중산층 가정의 거실 정도로 보이는 평범한 공간이 산산이 부서져, 날아다니는 파편이 화면을 뚫고 내게 날아올 듯 하다. 옆 방 영상에서는 어항이 잔인하게 깨지고 있고, 또다른 방에는 빈 와인잔과 촛대가 하얀 식탁 위에 시체처럼 차려져 있다. 제60회 베니스비엔날레의 대만관 위안광밍(Yuan Goang-Ming) 작가의 전시 ‘매일 전쟁(Everyday War)’이다. 평화로워야 할 일상이 갈기갈기 찢겨가는 과정을 관객들은 숨죽이며 바라본다. 지난 몇년간 중국본토로부터 전쟁 위협을 받는 대만의 상황을 의식하지 않더라도 충분히 공포가 감돈다. 2024년 현재를 살고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감지하는 ‘뭔지 모를 불안함’은 ‘피노(Pinault) 컬렉션’ 미술관으로 유명한 ‘푼타 델라 도가나(Punta della Dogana)’에서 더 충격적으로 느낄 수 있다. 프랑스의 세계적 작가 피에르 위그(Pierre Huyghe)의 전시 ‘리미널(Liminal, 한계)’이다. 미술관 안은 조명이 전혀 없어, 전시장 안에 들어서는 순간 눈앞이 깜깜하다. 깜짝 놀라 핸드폰 플래시를 바닥에 비추며 벽을 짚고 살살 걸어 가면, 앞에 펼쳐지는 영상은 섬뜩하다. 사람 하나 살지 않는 마을에 버려진 빈 집 안에서 인형인지 로봇인지 표정 없는 기이한 형상이 혼자 돌아다니고 있다. 이 형상이 여자아이 가면을 쓴 원숭이라는 것을 몰라도, 영상을 찍은 곳이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 발생지역이라는 것을 몰라도, 이미 등골이 오싹하다. 자연과 인간이 사라진 뒤 지구의 모습을 누구나 상상해봤을 거라, 이 작품이 어느 지역에서 누구를 찍은 것인지는 중요하지 않다. 토막 난 인체가 담긴 어항, 동물들의 얼굴이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빠르게 돌아가는 영상, 위압적인 로봇의 형상, 곳곳에 쭈그리고 앉은 기이한 조각 등 오브제들이 이어지는 전시장은 빠져나가기도 쉽지 않다. 우리가 서서히 파괴해가는 미래에 대한 두려움 때문일까? 어둠 속에서 조심조심 다니다 다른 관객을 코앞에서 마주치면 반갑고 마음이 놓이기까지 한다.

'필립스 컬렉션' 뒷마당 같은 정원 헌터 코트야드[이한빛의 미술관 정원]

[뉴시스] 이한빛 미술칼럼니스트 | 2024.04.27

목표는 간단했다. ‘국가적 위상을 높일 미술관’. 간단할 뿐이지 쉬운 것은 아니었다. 개인 컬렉션을 미술관으로 바꾸겠다는 결심을 한 젊은이는 구매량을 폭발적으로 늘렸다. 1년 사이에 70~80점을 사들였으니, 매주 한 점 이상이 소장품 리스트에 추가됐다. 이 청년은 돈 되는 마스터피스에 집중하기보다 현재 활동하고 있는 (젊은) 자국 작가를 집중적으로 모았다. 5~6점이 자국 작가라면, 1점 정도가 유럽 작가였다. 왜 굳이? 라는 질문에 그는 자랑스럽게 답했다. 아예 잡지에 글을 써서 공개적으로 알렸다. ‘새로운 미국을 대표하는 화가들 (Representative American Painters of New Century)’, 그러니까 미술에 관심이 커진 대중들에게 미국 미술에 대해 알리겠다는 목표였다. 때는 1919년, 필력으로 이름깨나 날렸던 던컨 필립스(1886-1966)의 ‘필립스 컬렉션’이다. 집을 미술관으로 필립스컬렉션은 미국에 동시대미술을 처음 소개한 것으로 평가된다. 1920년대이니, 당시의 동시대미술은 인상파를 필두로 ‘모던’(현대)을 고민하던 시류였다. 미술관은 미국 수도인 워싱턴 D.C.에서도 싱크탱크와 외교관들이 몰려있는 듀퐁 서클 근처에 자리하고 있다. 깔끔한 주택가에 위치해, 처음 찾아가면 이곳이 미술관인지 아니면 규모가 큰 오랜 저택인지 살짝 헷갈릴 정도다. 붉은 벽돌의 저택엔 주의해서 보면 찾을 수 있을 정도로 작게 ‘필립스 컬렉션’ 팻말이 붙어있어, 제대로 찾아왔다는 것을 알려준다. 오래 보아야 보이는 것은 들꽃의 아름다움만이 아니다. 현재 필립스 컬렉션의 규모는 5000점을 넘는다. 던컨 필립스와 마조리 애커(Marjorie Acher) 필립스 부부가 1921년 시작, 시간이 지날수록 규모가 커진 것이다. 부부가 생존했을 때 이미 르노아르, 보나르, 브라크 등 유럽 모더니즘 거장들의 작업을 비롯, 마크 로스코, 애드워드 호퍼, 조지아 오키프 등 미국 거장들까지 3000여점을 모았고 이후 미술관이 자체적으로 구매 및 기증받아 컬렉션은 지금에도 성장하고 있다.

2025년 베니스비엔날레 건축전 예술감독에 CAC(정다영·김희정·정성규)

[뉴시스] 박현주 | 2024.04.25

2025년 베니스비엔날레 제19회 국제건축전 한국관 전시를 총괄할 예술감독에 정다영, 김희정, 정성규로 구성된 CAC(씨에이씨, Curating Architecture Collective)가 선정됐다. 한국문화예술위원회(위원장 정병국, 이하 예술위원회)는 "2023년에 이어 2025년 국제건축전에서도 공동 예술감독 체제로 전시를 준비하게 됐다"고 밝혔다. 심사에 참여한 선정위원회는 심의총평에서 “CAC는 명확한 기획 의도와 탈영토·탈경쟁의 태도, 그리고 축적된 경험을 바탕으로 훌륭하게 전시를 완성 시킬 것으로 모두가 확신하여 2025년 건축전 한국관의 예술감독으로 선정하였다”라고 선정 이유를 밝혔다. CAC는 현재 국립현대미술관 건축 분야 학예연구사로 재직 중인 정다영, 서울시 문화본부 박물관과 학예연구사 김희정, 그리고 독립 큐레이터 정성규를 중심으로 구성된 연구 집단이다. 세 명의 전문 건축 큐레이터들의 콜렉티브로서 CAC 일원들은 2018년 베니스비엔날레 국제건축전 한국관 전시기획팀으로 활동했다. CAC는 2025년이 한국관 건립 30주년이 되는 해에 주목하여 전시 장소이자 지난 30년간 베니스비엔날레의 전시 궤적이 담겨 있는 한국관 건축을 조명하는 '나무의 집'을 선보일 예정이다.

한국관 30주년, 베니스비엔날레를 환하게 밝힌 한국미술의 밤

[뉴시스] 박현주 | 2024.04.22

한국문화예술위원회(위원장 정병국, 이하 예술위)가 한국관 건립 30주년 특별전시 '모든 섬은 산이다 Every Island is a Mountain'를 지난 19일 공식 개막했다. 베니스비엔날레 국제미술전 기간 동안 자르디니와 아르세날레를 중심으로 본전시와 국가관 전시에 관심이 집중되는 것을 감안 했을 때, 특별전시 개막에 대한 전세계 미술인들의 관심은 이례적이다. 한층 높아진 한국미술의 위상을 실감케 한다. 개막 하루 전날이었던 18일 오후 6시 베니스 몰타기사단 수도원에서 열린 개막행사에는 런던 서펜타인 갤러리의 아트 디렉터 한스 울리히 오브리스트, 휘트니 뮤지엄 관장 스캇 로스코프트, 샤르자 아트 파운데이션의 디렉터 후어 알 카시미, 국립현대미술관 김성희 관장, 이서현 리움미술관 운영위원장을 비롯한 세계 미술계의 영향력 있는 인물들이 대거 모였다. 또한, 영국의 세계적인 조각가 안토니 곰리, 덴마크 아티스트 그룹 슈퍼플렉스, 프랑스의 대표적인 현대미술가 장 미셸 오토니엘 등도 모습을 드러냈다. 뿐만 아니라 곽훈, 강익중, 이형우, 김수자, 문경원, 전준호 등 역대 참여 작가를 비롯하여 김홍희, 김선정, 안소연, 주은지, 윤재갑, 김승덕, 이영철 등 역대 예술감독과 국내 및 해외 미술 관계자 500여명이 모여 베니스의 중심에서 한국미술의 밤을 환하게 밝혔다.

제60회 베니스비엔날레 황금사자상에 마타호 콜렉티브·호주관(아치 무어)

[뉴시스] 박현주 | 2024.04.21

제60회 베니스비엔날레 미술전 최고영예상인 황금사자상 최고 작가상 뉴질랜드 마오리족 여성 작가들로 구성된 마타호 컬렉티브가 선정됐다. 20일(현지시간) 이탈리아 베니스비엔날레 조직위원회는 제60회 베네치아비엔날레 미술전 공식 개막식에서 국제전(본전시) 참여작가를 대상으로 하는 황금사자상 최고작가상 수상자로 마타호 컬렉티브를 호명했다. 뉴질랜드 마오리족 여성 작가 4명으로 구성된 작가 집단인 마타호 컬렉티브는 본전시장인 아르세날레 입구에 대형 섬유 설치 작품을 선보였다. "자궁과 같은 거치대가 있는 직물의 모계 전통을 참조하면, 이 설치는 우주론이자 쉼터"라며 "벽과 바닥에 드리워지는 그림자의 패턴은 조상들의 기술과 몸짓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그러한 기술의 미래 사용법을 보여준다"는 평가를 받았다. 2012년 뉴질랜드 아오테아로아에서 설립된 이들은 지난해 광주비엔날레에도 참여한 바 있다. 국가관 황금사자상은 아키 무어가 참여한 호주관이 차지했다. 아치 무어는 몇 달 동안 분필로 호주 원주민의 역사를 그려 넣은 작품을 선보였다. 호주가 황금사자상을 받은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심사위원들은 6만5000년의 역사가 어두운 벽 뿐만 아니라 천장에도 새겨져 회복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고 평했다.

최상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