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컨텐츠바로가기
주메뉴바로가기
하단메뉴바로가기
외부링크용로고

People수명 다한 대들보 수백년 세월 돌아 미술관에 오다

2018.04.10

[뉴스1] 여태경

  • 페이스북
  • 구글플러스
  • Pinterest

조각가 정현의 대들보를 재료로 한 작품 '무제', 2017.© News1

조각가 정현 "소멸되기 직전의 아름다움 발견"

서원을 떠받치고 있던 300여년 된 7m 길이의 육중한 소나무가 전시장 한가운데 누워있다. 단청이 벗겨지고 흰개미가 온통 제 살을 갉아먹은 대들보는 수명이 다해 '폐량1'이라는 딱지가 붙은 채 함양의 한 목공소로 흘러 들어왔다.

조각가 정현은 더 이상 제기능을 할 수 없게 돼 폐기된 이 대들보를 목공소에서 우연히 발견하고 조각품으로 소생시켰다.

마치 인고의 세월을 견뎌내고 편안한 죽음을 맞이하는 수도자처럼, 육지로 올라와 숨을 거두는 거대한 한 마리의 고래를 보듯이 숭고하기까지 하다.

작가는 좀이 먹은 구멍마다 철사를 꽂아보기도 하고 낚시줄을 넣어보기도 했지만 대들보 자체를 그대로 둔채 버려진 철도침목을 그 위에 세웠다.

낡고 좀먹고 부스러졌지만 가만히 들여다보면 우리나라 단청에서는 보기 드문 항아리, 구름 같은 모양이 정교하게 그려져 있다.

정현, 무제 Untitled, 2015, 침목, 300x75x25cm.(금호미술관 제공)

정현 작가는 20년 가까이 폐침목과 같이 현대 사회에서 버려진 물질들을 재료로 해 '인간'에 대해, 견딤과 인고의 미학에 대해 이야기 하고 있다. 그는 "폐자재이지만 긴 세월 동안의 겪음이 잘 담겨 있다. 소멸되기 직전이지만 그 속에서 힘과 아름다움을 발견할 수 있다"고 말했다.

작가가 살던 동네의 한옥과 초가집들이 철거되면서 굴착기에 찢기고 부러진 흔적이 고스란히 남아 있는 목재들도 전시장에 자리를 잡았다. 작가는 철거 과정에서 나온 목재들에 먹물을 바르고 성처럼 쌓아올려 새로운 구조물을 만들어냈다.

2016년 프랑스에서 선보인 정 작가의 대표작인 거대한 '서 있는 사람'을 연상시키는 침목 작품들도 만나볼 수 있다. 거대한 입상의 피부는 셀 수 없이 지나간 기차와 세월의 흔적이 흉터처럼 새겨져 있다.

작가는 2006년 올해의 작가상, 김세중 조각상, 우현예술상 등을 수상하는 등 한국 조각에서 독보적인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이번 전시는 2016년 파리 생 클루 국립공원 등에서 대규모 전시를 연 후 국내에서 갖는 첫 개인전이다.

설치 작업 4점, 대형 드로잉 3점 등 9점의 신작 등 총 22점이 전시 중이며 전시는 5월22일까지 이어진다.

조각가 정현이 10일 금호미술관에서 작품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News1

haru@

최상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