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컨텐츠바로가기
주메뉴바로가기
하단메뉴바로가기
외부링크용로고

Trouble"블랙리스트 관련 현직 기관장 '명예로운 퇴직' 고심해달라"

2017.09.19

[뉴스1] 박정환

  • 페이스북
  • 구글플러스
  • Pinterest

진상조사위 제1차 대국민보고 현장© News1

진상조사위 제1차 대국민보고…김미화 등 'MB블랙리스트'도 조사

"블랙리스트 사태는 정치권력이 행정 권력을 이용해 문화예술계 인사에게 불이익을 주거나 배제한 사건입니다. 진상조사위는 제보 등을 통해 현재까지 드러난 사건부터 조사를 실시하겠습니다. 그러나 블랙리스트에 관여한 것으로 추정되는 인사들이 아직 현직에 있습니다. 조사 과정에서 이분들의 명예가 손상될 우려가 있습니다."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블랙리스트 진상조사 및 제도개선위원회'(공동위원장 도종환·신학철, 이하 진상조사위)의 조영선 진상조사소위원장은 18일 서울 종로구 독립영화관 인디스페이스에서 가진 '1차 대국민보고'에서 "블랙리스트에 관여한 현직 기관장들이 '명예로운 퇴진'을 고심할 필요가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조영선 소위원장은 "감사원과 특검 등에게서 관련 자료를 공조 받았다"며 "재발방지를 위해 진상을 규명하고 제도를 개선해 앞으로는 앞으로 배제를 당한 블랙리스트도 혜택을 받은 화이트리스트도 없는 사회를 만들겠다"고 했다.

조 소위원장은 조사 범위를 이명박 전 대통령 시절 작성된 것으로 알려진 이른바 'MB 블랙리스트'까지 확대하겠다고도 했다. 그는 "진상규명의 대상과 시간적 범위가 정해지지 않았기 때문에 당연히 MB블랙리스트도 조사 대상"이라며 "청와대 기획관리실이 2008년 작성한 '문화 권력의 균형화 전략'문건부터 국정원이 청와대에 보고한 문화예술계 82명 등에 관한 조사부터 할 예정"이라고 했다.

지난 7월31일 출범한 진상조사위는 박근혜 정부에서 특정 정치 성향의 문화예술계 인사들을 정부 지원에서 배제한 일명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사건을 규명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하지만 최근 이명박 정부에서도 유사한 사례가 있었다는 정황이 드러나자 조사 범위를 확대하겠다는 뜻을 명확히 했다.

© News1

이와 관련 방송인 김미화씨도 오는 26일 진상조사위에서 정식 조사를 받을 예정이다. 김씨는 이명박 정부 시절 국가정보원이 만든 '문화·연예계 블랙리스트'에 올라 방송퇴출 등 전방위 압박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김씨는 오는 19일 MB 블랙리스트 의혹 등을 수사 중인 서울중앙지검 수사팀에도 참고인 자격으로 소환돼 조사를 받을 예정이다.

송경동 진상조사위 간사는 "검찰 수사와 공조해 진상조사를 할 계획"이라며 "검찰의 수사 방식과 진상조사위의 조사 방식은 결이 다르기 때문에 공조하면 시너지를 낼 것"이라고 내다봤다. 송 간사는 "진상조사위가 현장의 피해 사례를 조사함으로써 검찰 수사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고 덧붙였다.

현재까지 진상조사위에는 김미화 씨를 비롯해 조사신청 16건, 실명제보 4건, 익명제보 6건 등 총 26건이 접수된 상태다.

조영선 소위원장은 "제보와 조사 신청은 10월31일까지 접수할 예정"이라며 "각종 제보와 김기춘 재판 판결문, 감사원 감사 등을 바탕으로 '부산국제영화제 외압사건' '서울연극제 대관배제 및 아르코대극장 폐쇄 사건' '소외계층 문화순회사업 등 선정배제 사건' 등에 대한 조사를 시작했다"고 했다.

한편 진상조사위 1차 대국민보고는 진상조사위가 출범 이후 한 달 보름 동안 진행한 활동 결과를 일반 국민, 문화예술계와 공유하기 위한 자리다. 행사에 참여한 문화예술인들이 현장에서 조사위원에게 조사신청과 제보를 하기도 했다.

활동 보고회 이후 이어진 토크쇼 '블랙리스트, 말하다'에선 이송희일 감독, 노순택 사진작가, 극단 돌파구 전인철 대표, 소설가 박민규 등 피해 당사자들의 생생한 경험담을 들려줬다.

한편, 진상조사위 오는 19일 서울 종로구 사간동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교육동에서 '제1차 재발방지 및 공정한 문화예술정책 수립 연속토론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 News1

art@

최상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