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컨텐츠바로가기
주메뉴바로가기
하단메뉴바로가기
외부링크용로고

전시소식[서울혁신파크 SeMA 창고] VIRTUAL STANCE

2018.08.14

Writer : news
  • 페이스북


 

 

 

VIRTUAL STANCE

이충현展 / LEECHOONGHYUN / ??? / sculpture

2018_0814 ▶︎ 2018_0826 / 8월20일, 월요일 휴관

 

서울혁신파크 SeMA 창고

SEOUL INNOVATION PARK_SeMA Storage

서울 은평구 통일로 684(녹번동 5-29번지)

서울혁신파크 5동 SeMA 창고 B

Tel. +82.(0)2.2124.8818

sema.seoul.go.kr

 

 

완전한 평면으로서의 조각적 형태 ● 1. 조각에 있어서 대개 묵직한 재료와 견고한 형태를 다루기에 앞서 그 결과를 미리 가늠하며 상상할 수 있는 에스키스(esquisse)는 건축의 도면만큼이나 필수적이고 또한 매우 필연적이다. 훗날 위대한 조각가들이 남긴 스케치북을 펼쳐 볼 때, 익숙한 실제의 형태들이 종이 위에서 어떻게 상상되고 구축되었는가를 보는 것은 그 조각이 지니고 있는 원본성 만큼이나 형태의 실존을 증명할만한 숨은 지도를 발견한 것과 같을 것이다. (그렇다고 반드시 함께 놓여야 더 좋거나 하는 건 아니지만,) 조각의 물질적인 형태 이전부터 존재해왔던 비실체로서의 형태에 대한 상상은 그 형태에 함의된 구축의 논리와 매체적 관습을 뒷받침하기에 충분하다.

 

 2. 이충현은 개인전을 준비하며 내게 전시와 관련해 글을 요청하면서 먼저 세 페이지 정도의 글을 써서 보냈다. 간단한 이미지도 제목도 붙여 넣지 않은 그 글은 그가 생각하고 있는 조각의 형태와 그 형태가 구축되는 조건에 관한 주관적인 진술을 포함하고 있었다. 대학에서 조각을 전공한 그는 자신의 작업을 조각의 범주 안에 넣어 두고 그것의 "조각적" 맥락을 찾으려는 듯했다. 나는 그 글에 짧은 메모를 덧붙여 가면서 몇 번 읽었는데, 그의 작업실을 직접 가보기 전까지 내 머릿속에서 어떠한 (조각적) 형태도 상상하지는 않았다. 그리고 내가 그의 작업실을 찾았을 때, 그는 컴퓨터로 파일을 열어 가상의 전시 전경을 펼쳐 보이면서 공간을 사방에서 자유자재로 투명하게 간섭해 들어갔다. 거기서 이미 미래의 공간을 차지하며 완벽하게 구축된 조각의 형태들은, 사실 형태에 대한 필연적인 인과관계를 긴밀하게 주고받을 에스키스로서의 위상을 넘어서서 그 자체로 이미 조각적인 함의를 성취한 것처럼 보였다. 다시 말해, 그 가상의 공간에 데이터로 구축된 형태들이 다시 삼차원의 물리적인 형태로 실재하는 공간에 똑같이 재현될 이유를 나는 금방 찾지 못했다. 오히려 그 두 가지 버전의 형태 사이에 놓이게 될 구조적인 관계와 경험의 간극이 어떤 방식으로 나타나게 될까를 의심하고 기대하고 있었다.

 

결과적으로 되짚어 보면, 그는 역설적이게도 삼차원의 조각적 형태가 지닌 정면성을 가상에서의 평면성과 일치시켜 그 경험을 실체화 하는 방법을 모색했다. 말하자면, 이충현은 조각의 사방을 총체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고전적 정면성을 염두에 두면서 동시에 가상의 존재들이 불투명하게 구축해내 있는 이차원의 평면성을 재현해내려 하는 것 같다. 그는 언뜻 조각적 형태의 외피를 걷어내고 그 내부 구조를 총체적으로 파악하려 했던 시각중심적인 태도를 보이면서 조각의 정면성을 추구한 듯 하지만, 또한 그 총체적인 정면성을 방해하는 가상의 "완전한 평면들"에 대한 경험적 한계 또한 강하게 드러내고 있다. ■ 안소연​ 

 

 

 

최상단으로